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테스크 큐
- git branch -m
- styled-compoents
- react
- 1966 프린터큐
- Code Splitting
- fetch()
- vscode extension
- javascript 비동기
- java
- styled-components 버전 문제
- React 공식문서
- carouselButton
- 최단거리알고리즘
- Styled Components
- 네트워크 통신 요청
- react immer
- use-immer
- styled-components 설치 오류
- styled components 설치 안됨
- 단일링크드리스트
- likelion
- react-native-snap-carousel
- reading 'edgesOut'
- Javascript
- Call Stack
- styled-components extension
- reading 'useDebugValue'
- 브랜치 이름 변경 명령어
- js fetch
Archives
- Today
- Total
Keep Going
메소드 본문
반응형
[ main ]
main 메소드는 규칙이다!!!!!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로 시작하는 중괄호 안에 넣어야 실행된다!!!!
[ 매개변수와 인자 ]
package org.opentutorials.javatutorials.method;
public class MethodDemo4 {
public static void numbering(int limit) {
int i = 0;
while (i < limit) {
System.out.println(i);
i++;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numbering(5);
}
}
limit이라는 변수를 '매개변수' 라고 부르고,
limit으로 숫자 5를 넘겨줄 때, 이 매개변수의 값을 '인자' 라고 부른다.
but, 보통은 혼용해서 쓴다!
[ return ]
** 1. 메소드의 밖으로 값을 넘겨주고 싶을 때!!! return 을 씁니다~~~
package org.opentutorials.javatutorials.method;
public class MethodDemo6 {
public static String numbering(int init, int limit) {
int i = init;
// 만들어지는 숫자들을 output이라는 변수에 담기 위해서 변수에 빈 값을 주었다.
String output = "";
while (i < limit) {
// 숫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대신 변수 output에 담았다.
output += i;
i++;
}
// 중요!!! output에 담겨 있는 문자열을 메소드 외부로 반환하려면 아래와 같이 return 키워드 뒤에 반환하려는 값을
// 배치하면 된다.
return output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메소드 numbering이 리턴한 값이 변수 result에 담긴다.
String result = numbering(1, 5);
// 변수 result의 값을 화면에 출력한다.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}
이때 중요한 것은!!!
메소드의 return을 통해 반환할 값의 데이터 형식을 메소드 이름 옆에 명시해 주어야 한다.
ex) main함수는 반환값이 없으니까 public static void
numbering함수는 반환값이 string이니까 public static String
** 2. 메소드를 중단시키는 역할도 한다!!
[ 복수의 return ]
자바는 문법적으로 여러개의 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. 그렇다면~? 하나의 변수에 여러개의 값을 담아서 출력하면 된다!!!
하나의 메소드는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배열 타입의 변수에다가 값을 다 넣어서 return 하는 방법이 있다.
package org.opentutorials.javatutorials.method;
public class ReturnDemo4 {
public static String[] getMembers() {
String[] members = { "최진혁", "최유빈", "한이람" };
return members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tring[] members = getMembers();
}
}
[ 알아두면 좋은 것!! ]
자바에서는 + 덧셈 연산시 연산자와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스트링이면 스트링으로 변환되어 연산한다.
숫자+숫자 = 숫자
문자열 + 숫자 = 문자열
숫자 + 문자열 = 문자열
문자열 + 문자열 = 문자열
원래 StringBuilder 클래스 이용하는데 비교적 간단한 연산을 직관적이고 빠르게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
반응형